쪼무래기가 들려주는 완전탕성충돌 이야기

by 오전 7:17:00 0 개의 댓글
안녕하세요. 제가 '쪼무래기가 들려주는 핵분열, 핵융합 이야기' 를 쓴 다음 바로 쓰네요.

제가 그 글의 마지막쯤에 완전탕성충돌이라는 말을 했는데요.

이것에 대한 간단한 정의만 알려드리겠습니다.

완전 탕성충돌이란 제가 준만큼 나아가는 것입니다. 즉 제 동생이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고 가만이 있는데

제가 10줄(J)로 밀었을때 딱 10줄만큼 나아가는 것을 완전 탄성 충돌입니다.

뭐 속담으로 말하면 '콩심은데 콩나고, 팥심은데 팥난다' 라는 속담을 생각 하시면 됩니다.

하지만 우리의 생활은 완전 탕성 충돌을 보기가 매우 어렵습니다.

무선 위에서 비유 했던것 과 같이 제 동생이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가 10줄로 밀었을 경우 딱 10줄만큼 가지않고

조금더 갑니다.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? (단 여기는 기울기 가 없고 마찰력도 일정한 도로이다.)

바로 관성때문입니다. 관성은 계속 운동 하려는 성질을 말하는 것입니다.

이것도 예를 들자면 버스를 들 수 있는데요. 버스 손잡이가 흔들리는것에 비유를 하겠습니다.

버스가 출발을 할때 손잡이가 뒤로 쏠리죠? 그것은 바로 손잡이는 가만히 있으려고 하는 성질과 버스가 앞으로 나아가려는 성질이 겹쳤기 때문입니다. 즉 손잡이는 가만이 있는데 버스와 우리가 앞으로 가기 때문에 손잡이가 뒤로 쓸리는 것 처럼 보이는 거죠. 그거와 같이 우리생활에는 보이지 않는 힘 즉 관성이 있어서 완전탄성 충돌을 보기가 어렵습니다. 이런것을 보고 비탄성 충돌이라고 하는데요. 이것은 상대의 힘이 완전히 전해지지 않았다고 보시면 됩니다. 이렇듯 단어만 보면 어려운데 조금만 생각하면 쉬운것들이 있습니다.





이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. 다는 읽어 주시지 않더라도 참고가 되었으면하네요.



출처 : 나의 생각 & 코아(책) 물리 에서 배운 내용

Unknown

Developer

Cras justo odio, dapibus ac facilisis in, egestas eget quam. Curabitur blandit tempus porttitor. Vivamus sagittis lacus vel augue laoreet rutrum faucibus dolor auctor.

0 개의 댓글:

댓글 쓰기